호주의 problogger라는 사이트에 올라온 글인데..
블로거들에게는 참고할만 할것 같습니다!!..
블로그에 좋은 글 쓰는 방법
1. 보여주지만 말고, 보여주고 이야기해라.
사진 한 장이 많은 정보를 준다고 하지만 관련된 설명글이 없다면 외면당한다.
사진과 글을 적절히 활용하자.
2. 키워드, 키워드, 키워드..
태그나 키워드의 활용을 최대한으로 하자.
검색에서 우위를 가지도록 하는 것도 중요하고 글 내용이 키워드와 잘 매칭이되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3. 클릭 가능한 제목을 만들자.
4. 첫 200단어로 글의 내용을 전달하자.
방문하는 구독자들은 첫 몇 줄만 읽고 글의 가치를 판단한다.
불과 몇 십 초 만에 그들을 사로잡아야 한다.
5. 반드시 편집을 하자.
좋은 아이디어가 좋은 글을 만들어내는 것은 아니다.
아무리 훌륭한 아이디어라도 엉망으로 편집된 글이면 정보 전달을 할 수가 없고 이해하기 힘들다.
불필요한 단어들은 빼고 글을 잘 다듬어서 발행하자.
6. 시대에 변하지 않는 글을 쓰자.
10년 20년 후에 다시 봐도 어색하지 않을 글을 쓰자.
블로그가 살아 있는 동안 영구적으로 남는 글인 만큼 단어 하나하나에 신경을 쓰자.
7. 말을 낭비하지 말자.
쓸데없는 글로 공간을 낭비하지 말자.
제목에 맞게 거기에만 해당되는 중요한 내용들만 올리도록 하자.
시간이 없는 구독자들이 원하는 부분을 읽기위해 앞에 나오는 아무런 영양가 없는 내용의 글을 읽으려 하지 않는다.
8. 어려운 용어는 설명하자.
내가 안다고 모든 구독자들이 다 아는 것은 아니다.
요즘 많고 많은 IT관련 용어들이 있지만 그 것을 잘 모르는 사람들도 많다.
당연히 알겠다는 생각을 하지 말고 좀 생소한 용어다 싶으면 짧게 설명을 해주자.
9. 링크와 이미지에 타이틀과 설명을 붙이자.
10. Flash, Podcasts, Videocasts, Screencasts를 올릴 때 설명을 붙이자.
달랑 유투브의 Flash하나 올려놓고 아무런 설명도 없는 경우가 많다.
무엇을 기대할 수 있는지 간략한 설명을 쓰자.
11. 문제제기, 해결방법, 결론의 형태를 갖추자.
처음부터 결론을 말하지 말자.
읽는 사람은 문제가 어떤 것인지도 모르는데 처음부터 결론을 제시하고 글을 쓰는 분들이 있는데 좋은 방법이 아니라고 한다.
12. 사실만 쓰자.
자신의 소견과 판단을 쓰는 것이 좋지만 반드시 논리적이고 사실에 근거한 내용만을 쓰도록 하자.
아무런 사실적 근거도 없는 추측과 비난으로 글을 쓴다면 외면받게되고 아무런 가치도 없는 글이다.
반드시 자신의 주장을 뒷받침 해줄 사실과 근거가 있어야한다.
13. 만약 자신에게 100개의 우선순위가 있다면 아무런 우선순위도 없는 것이다.
하나의 포스트에 40개나 되는 토픽을 다루려고 한다면 그 글은 아무런 의미도 없다.
한 포스트에는 주제가 3개 이상을 넘지 않도록 하자.
주제가 너무 많으면 따로따로 다른 포스트를 만들자.
14. 독창적인 글이 가장 중요하다.
다른 글을 퍼 나르는 것보다는 독창적으로 가벼운 글이라도 쓰는 것이 훨씬 중요하다.
15. 구독자를 움직이는 글을 써라.
글을 한번 읽기 시작하면 계속 이어서 끝까지 읽을 수 있도록 흥미롭게 써라.
한 문장을 읽은 뒤 다음 문장으로 계속 이어질 수있게 흥미를 유발해라
16. 짧고 간단한 단락과 글 길이를 사용해라.
길고 지루한 글은 읽기 싫어한다.
가능한 짧고 간단하게 요약하자.
17. 명령어를 적절히 사용하자.
사람들은 도움이 되는 실용적인 정보들을 좋아한다.
즉 사용법, 해결법, 인용법, 만드는 법등 뭔가 즉시 활용할 수 있는 정보에 더 흥미를 느끼기 때문에 '만들다', '해결하다', '정리하다', '설치하다' 등의 단어를 잘 활용하자.
18. 우유부단한 성격의 글은 삼가하자.
구독자들에게 믿음을 심어주는 글을 써야 한다.
아무런 신념이나 믿음이 글에서 나오지 않는다면 읽는 사람도 별로 끌리지 않는다.
자신감과 확신을 가지고 글을 쓰자.
19. 정확한 명칭과 이름을 사용하자.
'그 것 때문에', '이 놈 때문에', '저 일로'..등의 글은 많이 자제하자.
정확히 그것이 뭔지 명칭을 사용하고, 저 사람이 누군지 이름을 사용해서 글을 쓰도록 노력하자.
20. 댓글도 포스트의 일부다.
각 포스트의 댓글들도 관리를 해서 스팸같은 댓글은 정리하고 악플이라도 좋은 토론이 이루어질 수 있다면 남겨놔서 포스트의 질을 높이자.
21. 누구에게 글을 쓰고 있는지 상상하자.
누가 나의 글을 읽을 것인가 생각을 하면서 그들에게 말하고 있다는 식으로 글을 쓰도록 해보자.
좀 더 자연스럽게 글을 쓸 수 있을 것이다.
22. 예전의 포스트들을 계속 편집하자.
시간이 지나면서 글쓰는 능력도 향상되고 새로운 정보가 생겨나는 것을 잘 활용해서 예전에 썼던 어색한 부분들을 고치고 새로운 정보들로 업데이트하자.
검색해서 들어오는 많은 사람들은 이런 지속적인 업데이트로 예전 글의 노출도 꾸준히 올라갈 것이다.
23. 말하는 것처럼 써라.
구독자에게 직접 말을 하는 것처럼 쓰자.
그러면 읽는 사람은 더욱 편하게 느끼며 글쓴이와 통화하는 느낌을 받을 것이다..즉 더 친근감이 생겨나는 것이다.
24. 정확하게 요점을 전달해라.
요점을 글 시작에 전달하고 정확하고 확실하게 전달하자.
25. 적절한 폰트 에디터를 사용하자.
너무 많은 글들이 볼드나, 이탤릭으로 되어있다거나 색을 가지고 있으면 혼란스럽고 보기 좋지 않다.
확실히 구분하고 요점에 중요한 부분만을 특별처리 하자.
26. 문법에 신경 쓰자.
27. 쓸데없는 이모티콘이나 심벌 사용은 하지 말자.
느낌을 전하고 싶으면 글로 똑바로 쓰자...스마일 이모티콘 같은 것으로 글의 질을 떨어뜨리지 말자.
28. 구독자들을 교육시켜라.
내 블로그에 와서 뭔가 얻어갔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게 하자.
간단한 새 제품 출시 정보나, 새로운 영화 개봉이야기라든가, 맛있는 삼겹살집이라든가..아무런 정보도 좋지만 먼가 하나를 얻고 갔다는 느낌을 가지게 하자.
29. 구독자들을 생각하게 만들어라.
단순히 정보만 얻어가는 것이 아니라 함께 고민하고 토론 할 수 있는 글을 쓰도록 하자.
그들이 생각하고 feedback할 수 있는 내용을 써보자.
30. 열정과 확신을 가지고 글을 쓰자.
아무리 글 솜씨가 좋지 않아도 열정과 확신이 글에서 나타난다면 그 글은 좋은 글이다.
아마도 가장 중요한 요소일 것이다.
출처 : Blogging Is About Writing
http://entclic.com/351
(출처 : joins 블로그 blog.joins.com/eokm)
블로거들에게는 참고할만 할것 같습니다!!..
블로그에 좋은 글 쓰는 방법
1. 보여주지만 말고, 보여주고 이야기해라.
사진 한 장이 많은 정보를 준다고 하지만 관련된 설명글이 없다면 외면당한다.
사진과 글을 적절히 활용하자.
2. 키워드, 키워드, 키워드..
태그나 키워드의 활용을 최대한으로 하자.
검색에서 우위를 가지도록 하는 것도 중요하고 글 내용이 키워드와 잘 매칭이되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3. 클릭 가능한 제목을 만들자.
4. 첫 200단어로 글의 내용을 전달하자.
방문하는 구독자들은 첫 몇 줄만 읽고 글의 가치를 판단한다.
불과 몇 십 초 만에 그들을 사로잡아야 한다.
5. 반드시 편집을 하자.
좋은 아이디어가 좋은 글을 만들어내는 것은 아니다.
아무리 훌륭한 아이디어라도 엉망으로 편집된 글이면 정보 전달을 할 수가 없고 이해하기 힘들다.
불필요한 단어들은 빼고 글을 잘 다듬어서 발행하자.
6. 시대에 변하지 않는 글을 쓰자.
10년 20년 후에 다시 봐도 어색하지 않을 글을 쓰자.
블로그가 살아 있는 동안 영구적으로 남는 글인 만큼 단어 하나하나에 신경을 쓰자.
7. 말을 낭비하지 말자.
쓸데없는 글로 공간을 낭비하지 말자.
제목에 맞게 거기에만 해당되는 중요한 내용들만 올리도록 하자.
시간이 없는 구독자들이 원하는 부분을 읽기위해 앞에 나오는 아무런 영양가 없는 내용의 글을 읽으려 하지 않는다.
8. 어려운 용어는 설명하자.
내가 안다고 모든 구독자들이 다 아는 것은 아니다.
요즘 많고 많은 IT관련 용어들이 있지만 그 것을 잘 모르는 사람들도 많다.
당연히 알겠다는 생각을 하지 말고 좀 생소한 용어다 싶으면 짧게 설명을 해주자.
9. 링크와 이미지에 타이틀과 설명을 붙이자.
10. Flash, Podcasts, Videocasts, Screencasts를 올릴 때 설명을 붙이자.
달랑 유투브의 Flash하나 올려놓고 아무런 설명도 없는 경우가 많다.
무엇을 기대할 수 있는지 간략한 설명을 쓰자.
11. 문제제기, 해결방법, 결론의 형태를 갖추자.
처음부터 결론을 말하지 말자.
읽는 사람은 문제가 어떤 것인지도 모르는데 처음부터 결론을 제시하고 글을 쓰는 분들이 있는데 좋은 방법이 아니라고 한다.
12. 사실만 쓰자.
자신의 소견과 판단을 쓰는 것이 좋지만 반드시 논리적이고 사실에 근거한 내용만을 쓰도록 하자.
아무런 사실적 근거도 없는 추측과 비난으로 글을 쓴다면 외면받게되고 아무런 가치도 없는 글이다.
반드시 자신의 주장을 뒷받침 해줄 사실과 근거가 있어야한다.
13. 만약 자신에게 100개의 우선순위가 있다면 아무런 우선순위도 없는 것이다.
하나의 포스트에 40개나 되는 토픽을 다루려고 한다면 그 글은 아무런 의미도 없다.
한 포스트에는 주제가 3개 이상을 넘지 않도록 하자.
주제가 너무 많으면 따로따로 다른 포스트를 만들자.
14. 독창적인 글이 가장 중요하다.
다른 글을 퍼 나르는 것보다는 독창적으로 가벼운 글이라도 쓰는 것이 훨씬 중요하다.
15. 구독자를 움직이는 글을 써라.
글을 한번 읽기 시작하면 계속 이어서 끝까지 읽을 수 있도록 흥미롭게 써라.
한 문장을 읽은 뒤 다음 문장으로 계속 이어질 수있게 흥미를 유발해라
16. 짧고 간단한 단락과 글 길이를 사용해라.
길고 지루한 글은 읽기 싫어한다.
가능한 짧고 간단하게 요약하자.
17. 명령어를 적절히 사용하자.
사람들은 도움이 되는 실용적인 정보들을 좋아한다.
즉 사용법, 해결법, 인용법, 만드는 법등 뭔가 즉시 활용할 수 있는 정보에 더 흥미를 느끼기 때문에 '만들다', '해결하다', '정리하다', '설치하다' 등의 단어를 잘 활용하자.
18. 우유부단한 성격의 글은 삼가하자.
구독자들에게 믿음을 심어주는 글을 써야 한다.
아무런 신념이나 믿음이 글에서 나오지 않는다면 읽는 사람도 별로 끌리지 않는다.
자신감과 확신을 가지고 글을 쓰자.
19. 정확한 명칭과 이름을 사용하자.
'그 것 때문에', '이 놈 때문에', '저 일로'..등의 글은 많이 자제하자.
정확히 그것이 뭔지 명칭을 사용하고, 저 사람이 누군지 이름을 사용해서 글을 쓰도록 노력하자.
20. 댓글도 포스트의 일부다.
각 포스트의 댓글들도 관리를 해서 스팸같은 댓글은 정리하고 악플이라도 좋은 토론이 이루어질 수 있다면 남겨놔서 포스트의 질을 높이자.
21. 누구에게 글을 쓰고 있는지 상상하자.
누가 나의 글을 읽을 것인가 생각을 하면서 그들에게 말하고 있다는 식으로 글을 쓰도록 해보자.
좀 더 자연스럽게 글을 쓸 수 있을 것이다.
22. 예전의 포스트들을 계속 편집하자.
시간이 지나면서 글쓰는 능력도 향상되고 새로운 정보가 생겨나는 것을 잘 활용해서 예전에 썼던 어색한 부분들을 고치고 새로운 정보들로 업데이트하자.
검색해서 들어오는 많은 사람들은 이런 지속적인 업데이트로 예전 글의 노출도 꾸준히 올라갈 것이다.
23. 말하는 것처럼 써라.
구독자에게 직접 말을 하는 것처럼 쓰자.
그러면 읽는 사람은 더욱 편하게 느끼며 글쓴이와 통화하는 느낌을 받을 것이다..즉 더 친근감이 생겨나는 것이다.
24. 정확하게 요점을 전달해라.
요점을 글 시작에 전달하고 정확하고 확실하게 전달하자.
25. 적절한 폰트 에디터를 사용하자.
너무 많은 글들이 볼드나, 이탤릭으로 되어있다거나 색을 가지고 있으면 혼란스럽고 보기 좋지 않다.
확실히 구분하고 요점에 중요한 부분만을 특별처리 하자.
26. 문법에 신경 쓰자.
27. 쓸데없는 이모티콘이나 심벌 사용은 하지 말자.
느낌을 전하고 싶으면 글로 똑바로 쓰자...스마일 이모티콘 같은 것으로 글의 질을 떨어뜨리지 말자.
28. 구독자들을 교육시켜라.
내 블로그에 와서 뭔가 얻어갔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게 하자.
간단한 새 제품 출시 정보나, 새로운 영화 개봉이야기라든가, 맛있는 삼겹살집이라든가..아무런 정보도 좋지만 먼가 하나를 얻고 갔다는 느낌을 가지게 하자.
29. 구독자들을 생각하게 만들어라.
단순히 정보만 얻어가는 것이 아니라 함께 고민하고 토론 할 수 있는 글을 쓰도록 하자.
그들이 생각하고 feedback할 수 있는 내용을 써보자.
30. 열정과 확신을 가지고 글을 쓰자.
아무리 글 솜씨가 좋지 않아도 열정과 확신이 글에서 나타난다면 그 글은 좋은 글이다.
아마도 가장 중요한 요소일 것이다.
출처 : Blogging Is About Writing
http://entclic.com/351
(출처 : joins 블로그 blog.joins.com/eokm)
'MY S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버지니아공대 총기사고를 보며 (0) | 2007.04.19 |
---|---|
FREE HUG (0) | 2007.04.05 |
[펌] (주)아이포드 유인찬 대표 (1) | 2007.03.30 |
경칩 (0) | 2007.03.06 |
[펌] 서울대학교 합격자 생활수기 공모에서 고른 글 (0) | 2007.02.22 |